리투아니아의 인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의 인구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기부터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다. 1009년에 '리투아니아인'이라는 명칭이 처음 언급되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 건국 당시에는 리투아니아인이 인구의 약 70%를 차지했으나 영토 확장으로 인해 그 비율이 감소했다. 러시아 제국 시기에는 리투아니아어 인쇄 금지령으로 폴란드어 사용이 증가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리투아니아 민족 부흥 운동이 일어나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했지만, 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의 인구 감소를 겪었다. 현재 리투아니아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2021년 기준 리투아니아인의 비율은 84.6%이다. 리투아니아어는 유일한 공식 언어이며, 러시아어와 영어가 널리 사용된다.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교육 시스템은 초등, 기초, 중등, 고등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투아니아의 인구 | |
---|---|
리투아니아 | |
![]() |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2년 추정) | 2,830,546명 |
민족 | 리투아니아인(84.6%) |
공용어 | 리투아니아어(85.3%) |
0-14세 | 15.26% |
65세 이상 | 20.45% |
인구 증가율 (2022년 추정) | -1.04% |
출생률 | 9.26명/1,000명 |
사망률 | 15.12명/1,000명 |
순 이동률 | -4.54명/1,000명 |
성비 (출생 시) | 1.06 남성/여성 |
성비 (65세 이상) | 0.45 남성/여성 |
총 성비 | 0.86 남성/여성 |
영아 사망률 | 3.63명/1,000명 |
평균 수명 | 75.78년 |
평균 수명 (남성) | 70.42년 |
평균 수명 (여성) | 81.44년 |
합계 출산율 | 1.61명 |
2. 역사
리투아니아 지역의 인구 역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선사 시대에는 발트족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이 오늘날 리투아니아인의 조상이 되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기에는 초기 리투아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나, 영토 확장을 통해 루테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유입되면서 다민족 국가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 시기 리투아니아인의 인구 비율은 점차 감소했으며, 루테니아어가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다.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리투아니아 지역이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리투아니아어 인쇄 금지와 같은 정책은 리투아니아 동부 지역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쳐 일부 주민들이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19세기 말 리투아니아 민족 부흥 운동으로 리투아니아어 사용자와 민족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점령기를 거치며 강제 추방, 홀로코스트, 국경 변경에 따른 독일인 및 폴란드인 송환 등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하는 아픔을 겪었다.
전후 혼란 속에서도 리투아니아 민족의 인구 비율은 점차 회복되었고, 1990년 독립 회복 이후 현대에 이르고 있다. 각 시대별 구체적인 인구 구성과 변화 과정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선사 시대
오늘날 리투아니아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가장 오래된 흔적은 기원전 10,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기원전 30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빗살무늬 토기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발트해 연안부터 서쪽의 비스와 강, 동쪽의 모스크바–쿠르스크 선에 이르는 동유럽의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들은 기존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과 섞이면서 독특한 원시 인도유럽인 계통의 민족 집단인 발트족을 형성했다. 오늘날의 리투아니아인과 라트비아인, 그리고 과거의 고(古) 프로이센인이 바로 이 발트족의 후예이다.2. 2.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의 명칭('리투아니아인')은 1009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그 어원에 대해서는 작은 강을 뜻하는 'Lietava'에서 유래했다는 설, leičiai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는 설, 리투아니아 민족 부족의 연합을 의미하는 단어('susilieti, lietis'는 연합을 의미, 'lietuva'는 연합된 것을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모태가 된 리투아니아 공국은 리투아니아인들의 민족적 고향인 리투바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리투아니아 대공국(GDL)이 건국될 당시, 리투아니아인은 전체 인구의 약 70%를 차지했다.[1] 그러나 새로운 루테니아 지역을 편입하면서 이 비율은 50%로 감소했고, 이후 30%까지 낮아졌다. 13세기 말에서 14세기 동안 키예프 루스의 영토를 흡수하며 가장 크게 확장되었을 때,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는 약 800000km2에 달했으며, 이 중 민족적으로 리투아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은 약 10%에 불과했다.[2] 1375년에는 약 700000km2의 영토에 총인구 140만 명 중 리투아니아인은 42만 명으로 추산되었고, 1490년에는 약 850000km2의 영토에 총인구 380만 명 중 리투아니아인은 55만 명으로 추산되었다.[3][4][5]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루테니아인과 리투아니아인 외에도 유대인과 타타르족이 있었다. 1493년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총 인구는 75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폴란드인은 325만 명, 루테니아인은 375만 명, 리투아니아인은 50만 명이었다.[6]

루블린 연합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폴란드 왕국에 많은 영토를 넘겨주게 되었다. 루블린 연합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에서 민족 리투아니아인의 비율은 약 4분의 1 수준이었으며, 이는 연방 분할 시기까지 유지되었다. 17세기 중후반에는 전쟁 등으로 인해 리투아니아 대공국 전역에서 심각한 파괴와 인구 손실이 발생했으며,[7] 이는 빌뉴스 보이보드십의 민족 리투아니아인 인구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파괴와 더불어 러시아 제국에 영토를 상실하면서 루테니아인 인구 비율도 감소했다. 1770년경 리투아니아 대공국에는 약 484만 명의 주민이 있었는데,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루테니아인(약 139만 명)과 리투아니아인(약 139만 명)이었다.[1] 민족 리투아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했던 보이보드십(행정 구역)은 빌뉴스, 트라카이, 사모기티아였으며, 이 세 지역은 국가의 정치적 중심지를 형성했다. 트라카이 보이보드십 남부와 빌뉴스 보이보드십 남동부 지역에는 많은 벨라루스인도 거주했으며, 일부 남동부 지역에서는 그들이 주요 언어 집단이었다.
루테니아인 인구는 14세기 중반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확장 이후부터 다수를 차지했으며, '리투아니아'라는 명칭은 민족 리투아니아인뿐만 아니라 초기부터 슬라브족과 유대인을 포함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모든 주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오늘날의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조상 격인 루테니아어는 당시 러시아어라고 불렸으며, 리투아니아 군주들이 공문서 작성에 사용하던 언어 중 하나였다. 그러나 비타우타스 대공 시대부터는 라틴어나 독일어로 작성된 문서보다 루테니아어로 작성된 문서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후 루테니아어는 주요 공문서 및 기록 언어로 자리 잡았다. 1697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공용어로 폴란드어가 채택될 때까지 정부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18세기 후반에도 루테니아어로 작성된 문서가 발견되기도 한다.[8] 리투아니아어는 빌뉴스, 트라카이, 사모기티아 보이보드십에서 주로 구어로 사용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는 소수의 사람들만 사용했다. 루블린 연합 이전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마지막 대공인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투스의 궁정에서는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가 비슷한 비중으로 사용되었다.[9]
2. 3. 러시아 제국 시기

1795년 10월 24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제3차 폴란드 분할을 통해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의해 분할되면서 해체되었다. 이로써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61년 농노 해방 이후, 동부 리투아니아와 서부 벨라루스 지역에서는 폴란드어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2] 이는 러시아 제국 당국이 시행한 리투아니아어 인쇄 금지 정책과 관련이 깊다. 당시 러시아 제국은 라틴 문자로 된 리투아니아어 서적의 인쇄와 유통을 금지했는데, 이 때문에 동부 지역에 거주하던 많은 리투아니아인들은 크니그네샤이(책 밀수꾼)들이 몰래 들여온 리투아니아어 인쇄물을 접하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이들 중 상당수가 폴란드어로 언어를 전환하게 되었다.
폴란드어 역시 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 리투아니아어와 달리 금지령의 영향을 덜 받았다. 폴란드어는 당시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던 귀족 계층에서 여전히 사용되었고, 리투아니아 내 주요 도시와 가톨릭 교회를 중심으로 널리 쓰였기 때문이다.
2. 4. 독립과 소련 점령
19세기 말 리투아니아 민족 부흥이 심화되면서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고 스스로를 리투아니아 민족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하지만 동시에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리투아니아인, 특히 옛 슐라흐타 계층은 리투아니아 민족 정체성에서 멀어지기도 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과 그 이후 시기에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리투아니아의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특히 소련의 점령 및 통치 과정에서 많은 리투아니아인이 시베리아 등으로 강제 추방되었고, 나치 독일 점령기에는 리투아니아 홀로코스트로 인해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었다. 전쟁 이후에는 국경 변경과 함께 독일인 및 폴란드인의 송환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격동의 시기를 거치면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투아니아 민족의 인구 비율은 점진적으로 회복되어 1959년 79.3%에서 2002년 83.5%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 5. 독립 회복과 현대
2023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기대 수명은 다음과 같다.[10]
- ''전체:'' 76.0세
- ''남성:'' 70.6세
- ''여성:'' 81.6세
리투아니아는 남성과 여성 간의 기대 수명 격차가 11년으로,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차이 중 하나이다.
아래는 시간에 따른 리투아니아의 기대 수명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기간 | 기대 수명 (세)[11] |
---|---|
1950–1955 | 60.83 |
1955–1960 | 66.88 |
1960–1965 | 69.88 |
1965–1970 | 71.28 |
1970–1975 | 71.19 |
1975–1980 | 70.67 |
1980–1985 | 70.53 |
1985–1990 | 71.57 |
1990–1995 | 69.73 |
1995–2000 | 70.25 |
2000–2005 | 71.62 |
2005–2010 | 71.86 |
2010–2015 | 73.99 |
3. 인구
리투아니아의 인구는 소련 해체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다른 구소련 국가들과 유사하게, 리투아니아 역시 소련 붕괴 시점을 전후하여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도는 러시안 크로스 현상을 겪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의 연앙 인구는 1991년 약 37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꾸준히 감소하여 2020년에는 약 272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41]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인구 감소폭은 같은 기간 내전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구가 급감한 시리아, 푸에르토리코 다음으로 클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리투아니아는 불가리아와 함께 205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인구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42][43]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48%를 기록했다.[44]
2023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리투아니아의 평균 기대수명은 76.0세이다. 하지만 남성(70.6세)과 여성(81.6세) 간의 기대수명 격차가 11년에 달해, 이는 세계적으로 가장 큰 성별 기대수명 차이 중 하나로 꼽힌다.[10]
3. 1. 인구학적 동향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다른 구소련 국가들처럼, 리투아니아 역시 소련 붕괴 시점을 전후하여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도는 러시안 크로스 현상을 겪었다. 유엔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의 연앙 인구는 1991년 370만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272만 명까지 줄어들었다.[41]
특히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인구 감소폭은 같은 기간 내전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구가 크게 줄어든 시리아, 푸에르토리코 다음으로 클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리투아니아는 2050년까지 인구가 현재보다 23% 이상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불가리아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인구 감소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42][43]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48%를 기록했다.[44]
1950 | 197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
256.7만 명 | ↗313.7만 명 | ↗396.6만 명 | ↘350.2만 명 | ↘334.4만 명 | ↘312.4만 명 | ↘293.2만 명 |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1990년대 초반부터 사망률이 출생률을 넘어서면서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되었다.
'''2019년 유엔 인구 통계'''[44]
항목 | 내용 |
---|---|
총인구 | 280만 명 |
15세 미만 인구 | 15.1% |
15~24세 인구 | 10.0% |
25~64세 인구 | 54.7% |
65세 이상 인구 | 20.2% |
노인 부양 가능 인구 (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 2.7명 |
인구 성장률 | -1.4% |
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 | 10.2명 |
합계출산율 | 1.68명 |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 13.8명 |
영아사망률 (1살 미만 1,000명당) | 4명 |
유아사망률 (5세 미만 1,000명당) | 5명 |
출생 시 기대수명 | 75.9세 |
더 자세한 시기별 인구 통계(출생, 사망, 자연 증감, 이동률 등)는 리투아니아 통계청 공식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12]
3. 2. 인구 통계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다른 구소련 국가들처럼, 리투아니아도 소련이 붕괴할 시점 즈음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도는 러시안 크로스 현상이 나타났다. 유엔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의 연앙 인구는 1991년 370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0년 272만 명으로 감소했다.[41] 2010-2019년 기간 동안의 인구 감소폭은, 같은 기간 내전, 자연재해 등으로 인구가 감소한 시리아, 푸에르토 리코 다음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리투아니아는 2050년까지 23%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같은 기간 불가리아와 함께 전 세계에서 인구 감소폭이 가장 클 전망이다.[42][43] 2015-2020년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48%였다.[44]
리투아니아의 인구 | ||||||
---|---|---|---|---|---|---|
1950 | 197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56.7만 명 | ↗313.7만 명 | ↗396.6만 명 | ↘350.2만 명 | ↘334.4만 명 | ↘312.4만 명 | ↘293.2만 명 |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 총인구: 280만 명
- 15세 미만 인구: 15.1%
- 15~24세 인구: 10.0%
- 25~64세 인구: 54.7%
- 65세 이상 인구: 20.2%
- 노인 부양 가능 인구(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2.7명
- 인구 성장률: -1.4%
-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10.2명
- 합계출산율: 1.68명
-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13.8명
- 영아사망률(1살 미만 1000명당): 4명
- 유아사망률(5세 미만 1000명당): 5명
- 출생시 기대수명: 75.9세
: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01114031617/http://www.stat.gov.lt/lt/pages/view/?id=2714 리투아니아 통계청]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right;"
!
! width="70pt" |평균 인구
! width="70pt" |출생
! width="70pt" |사망
! width="70pt" |자연 증감
! width="70pt" |조출생률 (1,000명당)
! width="70pt" |조사망률 (1,000명당)
! width="70pt" |자연 증감 (1,000명당)
! width="70pt" |조이동률 (1,000명당)
! width="70pt" |총 출산율
! width="70pt" |기대 수명 (남성)
! width="70pt" |기대 수명 (여성)
! width="70pt" |총 기대 수명
|-
| 1945
| align="right" | 2,520,000
| align="right" | 60,392
| align="right" | 35,201
| align="right" | 25,191
| align="right" | 24.0
| align="right" | 14.0
| align="right" | 10.0
| -6.0
| align="right" |
|-
| 1946
| align="right" | 2,530,000
| align="right" | 58,399
| align="right" | 37,688
| align="right" | 20,711
| align="right" | 23.1
| align="right" | 14.9
| align="right" | 8.2
| -4.2
| align="right" |
|-
| 1947
| align="right" | 2,540,000
| align="right" | 59,680
| align="right" | 39,716
| align="right" | 19,964
| align="right" | 23.5
| align="right" | 15.6
| align="right" | 7.9
| -3.9
| align="right" |
|-
| 1948
| align="right" | 2,550,000
| align="right" | 58,780
| align="right" | 35,137
| align="right" | 23,643
| align="right" | 23.1
| align="right" | 13.8
| align="right" | 9.3
| -5.4
| align="right" |
|-
| 1949
| align="right" | 2,560,000
| align="right" | 63,034
| align="right" | 32,049
| align="right" | 30,985
| align="right" | 24.6
| align="right" | 12.5
| align="right" | 12.1
| -9.4
| align="right" |
|-
| 1950
| align="right" | 2,567,000
| align="right" | 60,719
| align="right" | 30,870
| align="right" | 29,849
| align="right" | 23.7
| align="right" | 12.0
| align="right" | 11.6
| -10.8
| align="right" |
|-
| 1951
| align="right" | 2,569,000
| align="right" | 58,504
| align="right" | 29,693
| align="right" | 28,811
| align="right" | 22.8
| align="right" | 11.6
| align="right" | 11.2
| -8.5
| align="right" |
|-
| 1952
| align="right" | 2,576,000
| align="right" | 56,944
| align="right" | 28,166
| align="right" | 28,778
| align="right" | 22.1
| align="right" | 10.9
| align="right" | 11.2
| -5.7
| align="right" |
|-
| 1953
| align="right" | 2,590,000
| align="right" | 52,610
| align="right" | 27,118
| align="right" | 25,492
| align="right" | 20.3
| align="right" | 10.5
| align="right" | 9.8
| -3.3
| align="right" |
|-
| 1954
| align="right" | 2,607,000
| align="right" | 54,229
| align="right" | 25,559
| align="right" | 28,670
| align="right" | 20.8
| align="right" | 9.8
| align="right" | 11.0
| -2.6
| align="right" |
|-
| 1955
| align="right" | 2,629,000
| align="right" | 55,525
| align="right" | 24,138
| align="right" | 31,387
| align="right" | 21.1
| align="right" | 9.2
| align="right" | 11.9
| -2.8
| align="right" |
|-
| 1956
| align="right" | 2,653,000
| align="right" | 53,741
| align="right" | 21,869
| align="right" | 31,872
| align="right" | 20.3
| align="right" | 8.2
| align="right" | 12.0
| -1.5
| align="right" |
|-
| 1957
| align="right" | 2,681,000
| align="right" | 56,223
| align="right" | 23,361
| align="right" | 32,862
| align="right" | 21.0
| align="right" | 8.7
| align="right" | 12.3
| -1.1
| align="right" |
|-
| 1958
| align="right" | 2,711,000
| align="right" | 61,190
| align="right" | 22,103
| align="right" | 39,087
| align="right" | 22.6
| align="right" | 8.2
| align="right" | 14.0
| -2.2
| align="right" | 2.63
|-
| 1959
| align="right" | 2,744,000
| align="right" | 62,240
| align="right" | 24,688
| align="right" | 37,553
| align="right" | 22.7
| align="right" | 9.0
| align="right" | 14.0
| 0.2
| align="right" | 2.63
|-
| 1960
| align="right" | 2,782,000
| align="right" | 62,485
| align="right" | 21,611
| align="right" | 40,874
| align="right" | 22.5
| align="right" | 7.8
| align="right" | 14.7
| 1.8
| align="right" | 2.59
|-
| 1961
| align="right" | 2,828,000
| align="right" | 62,775
| align="right" | 23,365
| align="right" | 39,410
| align="right" | 22.2
| align="right" | 8.3
| align="right" | 13.9
| -0.9
| align="right" | 2.57
|-
| 1962
| align="right" | 2,865,000
| align="right" | 59,728
| align="right" | 24,925
| align="right" | 34,803
| align="right" | 20.8
| align="right" | 8.7
| align="right" | 12.1
| -2.4
| align="right" | 2.64
|-
| 1963
| align="right" | 2,893,000
| align="right" | 57,024
| align="right" | 23,112
| align="right" | 33,912
| align="right" | 19.7
| align="right" | 8.0
| align="right" | 11.7
| 0.4
| align="right" | 2.45
|-
| 1964
| align="right" | 2,928,000
| align="right" | 55,856
| align="right" | 21,830
| align="right" | 34,026
| align="right" | 19.1
| align="right" | 7.5
| align="right" | 11.6
| 1.7
| align="right" | 2.31
|-
| 1965
| align="right" | 2,967,000
| align="right" | 53,818
| align="right" | 23,467
| align="right" | 30,351
| align="right" | 18.1
| align="right" | 7.9
| align="right" | 10.2
| 2.9
| align="right" | 2.21
|-
| 1966
| align="right" | 3,006,000
| align="right" | 54,275
| align="right" | 23,799
| align="right" | 30,476
| align="right" | 18.1
| align="right" | 7.9
| align="right" | 10.1
| 2.9
| align="right" | 2.34
|-
| 1967
| align="right" | 3,045,000
| align="right" | 53,806
| align="right" | 24,571
| align="right" | 29,235
| align="right" | 17.7
| align="right" | 8.1
| align="right" | 9.6
| 2.9
| align="right" | 2.27
|-
| 1968
| align="right" | 3,083,000
| align="right" | 54,258
| align="right" | 25,725
| align="right" | 28,533
| align="right" | 17.6
| align="right" | 8.3
| align="right" | 9.3
| 1.1
| align="right" | 2.25
|-
| 1969
| align="right" | 3,115,000
| align="right" | 54,263
| align="right" | 27,156
| align="right" | 27,107
| align="right" | 17.4
| align="right" | 8.7
| align="right" | 8.7
| 0.6
| align="right" | 2.29
|-
| 1970
| align="right" | 3,144,000
| align="right" | 55,519
| align="right" | 28,048
| align="right" | 27,471
| align="right" | 17.7
| align="right" | 8.9
| align="right" | 8.7
| 2.4
| align="right" | 2.40
|-
| 1971
| align="right" | 3,179,000
| align="right" | 56,044
| align="right" | 26,972
| align="right" | 29,072
| align="right" | 17.6
| align="right" | 8.5
| align="right" | 9.1
| 1.9
| align="right" | 2.41
|-
| 1972
| align="right" | 3,214,000
| align="right" | 54,616
| align="right" | 29,252
| align="right" | 25,364
| align="right" | 17.0
| align="right" | 9.1
| align="right" | 7.9
| 1.4
| align="right" | 2.35
|-
| 1973
| align="right" | 3,244,000
| align="right" | 51,944
| align="right" | 29,160
| align="right" | 22,784
| align="right" | 16.0
| align="right" | 9.0
| align="right" | 7.0
| 2.2
| align="right" | 2.22
|-
| 1974
| align="right" | 3,274,000
| align="right" | 51,941
| align="right" | 29,612
| align="right" | 22,329
| align="right" | 15.9
| align="right" | 9.0
| align="right" | 6.8
| 1.7
| align="right" | 2.21
|-
| 1975
| align="right" | 3,302,000
| align="right" | 51,766
| align="right" | 31,265
| align="right" | 20,501
| align="right" | 15.7
| align="right" | 9.5
| align="right" | 6.2
| 2.0
| align="right" | 2.18
|-
| 1976
| align="right" | 3,329,000
| align="right" | 52,296
| align="right" | 31,972
| align="right" | 20,324
| align="right" | 15.7
| align="right" | 9.6
| align="right" | 6.1
| 1.7
| align="right" | 2.18
|-
| 1977
| align="right" | 3,355,000
| align="right" | 52,166
| align="right" | 32,932
| align="right" | 19,234
| align="right" | 15.5
| align="right" | 9.8
| align="right" | 5.7
| 1.4
| align="right" | 2.14
|-
| 1978
| align="right" | 3,379,000
| align="right" | 51,821
| align="right" | 34,008
| align="right" | 17,813
| align="right" | 15.3
| align="right" | 10.1
| align="right" | 5.3
| 0.4
| align="right" | 2.09
|-
| 1979
| align="right" | 3,398,000
| align="right" | 51,937
| align="right" | 34,897
| align="right" | 17,040
| align="right" | 15.3
| align="right" | 10.3
| align="right" | 5.0
| -0.6
| align="right" | 2.05
|-
| 1980
| align="right" | 3,413,000
| align="right" | 51,765
| align="right" | 35,871
| align="right" | 15,894
| align="right" | 15.2
| align="right" | 10.5
| align="right" | 4.7
| 1.2
| align="right" | 1.99
|-
| 1981
| align="right" | 3,433,000
| align="right" | 52,249
| align="right" | 35,579
| align="right" | 16,670
| align="right" | 15.2
| align="right" | 10.4
| align="right" | 4.9
| 2.1
| align="right" | 1.98
|-
| 1982
| align="right" | 3,457,000
| align="right" | 53,141
| align="right" | 35,040
| align="right" | 18,101
| align="right" | 15.4
| align="right" | 10.1
| align="right" | 5.2
| 2.9
| align="right" | 1.97
|-
| 1983
| align="right" | 3,485,000
| align="right" | 57,589
| align="right" | 36,451
| align="right" | 21,138
| align="right" | 16.5
| align="right" | 10.5
| align="right" | 6.1
| 2.3
| align="right" | 2.10
|-
| 1984
| align="right" | 3,514,000
| align="right" | 57,576
| align="right" | 38,666
| align="right" | 18,910
| align="right" | 16.4
| align="right" | 11.0
| align="right" | 5.4
| 2.0
| align="right" | 2.07
|-
| 1985
| align="right" | 3,545,000
| align="right" | 58,454
| align="right" | 39,169
| align="right" | 19,285
| align="right" | 16.5
| align="right" | 11.0
| align="right" | 5.4
| 2.7
| align="right" | 2.09
|-
| 1986
| align="right" | 3,579,000
| align="right" | 59,705
| align="right" | 35,78
3. 3. 역사적 인구 변화
리투아니아의 명칭 '리투아니아인'은 1009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어원으로는 작은 강 'Lietava'에서 유래했다는 설, 'leičiai'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는 설, 리투아니아 민족 부족 연합을 의미하는 단어('susilieti, lietis'는 연합, 'lietuva'는 연합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리투아니아 민족의 고향인 리투바 지역에서 리투아니아 공국이 등장했으며, 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GDL)의 모태가 되었다. 대공국 건국 당시 리투아니아인은 인구의 약 70%를 차지했으나,[1] 새로운 루테니아 지역을 편입하면서 50%로 감소했고, 이후 30%까지 떨어졌다. 13세기 말과 14세기 동안 키예프 루스 영토로 크게 확장했을 때, 대공국 영토는 약 800000km2에 달했으며, 이 중 10%만이 민족적으로 리투아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이었다.[2] 민족 리투아니아인 인구는 1375년 약 700000km2 영토에서 140만 명 중 42만 명(약 30%), 1490년 약 850000km2 영토에서 380만 명 중 55만 명(약 14.5%)으로 추산된다.[3][4][5] 루테니아인과 리투아니아인 외에도 유대인과 타타르족이 주요 민족 집단을 이루었다. 1493년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총인구는 750만 명으로 추산되며, 폴란드인 325만 명, 루테니아인 375만 명, 리투아니아인 50만 명이었다.[6]
루블린 연합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폴란드 왕국에 많은 영토를 넘겨주었다(관련 인구 통계 참조). 이후 대공국 내 민족 리투아니아인의 비율은 약 1/4 수준이었으며, 이는 연방 분할 시점까지 유지되었다. 17세기 중후반에는 전쟁 등으로 인해 대공국 전역에서 심각한 파괴와 인구 손실이 발생했으며,[7] 빌뉴스 보이보드십의 민족 리투아니아인 인구도 큰 타격을 입었다. 또한 러시아 제국에 영토를 잃으면서 루테니아인 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1770년경 대공국 인구는 약 484만 명이었으며, 루테니아인과 리투아니아인이 각각 약 139만 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1] 민족 리투아니아인이 다수를 이룬 지역은 빌뉴스, 트라카이, 사모기티아 보이보드십이었고, 이 지역들은 국가의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트라카이 보이보드십 남부와 빌뉴스 보이보드십 남동부에는 벨라루스인도 다수 거주했으며, 일부 남동부 지역에서는 주요 언어 집단이기도 했다.
루테니아인 인구는 14세기 중반 대공국 확장 이후 다수를 차지했으며, '리투아니아'라는 명칭은 민족 리투아니아인뿐 아니라 초기부터 슬라브족과 유대인을 포함한 대공국의 모든 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
오늘날의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조상 격인 루테니아어(당시에는 러시아어로 불림)는 리투아니아 군주들이 행정 문서에 사용한 언어 중 하나였다. 비타우타스 시대 이후로는 라틴어나 독일어로 작성된 문서보다 수가 적었으나, 점차 주요 문서 및 기록 언어가 되었다. 1697년 폴란드어가 리투아니아-폴란드 연방의 공식 행정 언어로 채택될 때까지 루테니아어는 정부의 주요 언어였으며, 18세기 후반에도 루테니아어로 작성된 문서가 발견된다.[8] 리투아니아어는 빌뉴스, 트라카이, 사모기티아 보이보드십에서 구어로 사용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는 소수만이 사용했다. 루블린 연합 이전 마지막 대공인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투스의 왕실에서는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가 비슷하게 사용되었다.[9]
1795년 10월 24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제3차 분할로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의해 나뉘어 해체되었고,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는 대부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61년 농노 해방 이후 동부 리투아니아와 서부 벨라루스에서 폴란드어 사용이 증가했다.[2] 특히 라틴 문자로 된 리투아니아어 서적 출판을 금지한 리투아니아어 인쇄 금지 기간 동안, 동부 지역의 많은 리투아니아인들은 크니그네샤이(책 밀반입자)가 서쪽에서 가져온 리투아니아어 인쇄물을 접하기 어려워 폴란드어로 언어를 바꾸기도 했다. 폴란드어 역시 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 정치적으로 중요한 귀족 계층에서 사용되었고 주요 도시와 교회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금지령의 영향을 덜 받았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다른 구소련 국가들처럼, 리투아니아도 소련 붕괴 즈음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도는 인구 감소 현상(러시안 크로스)을 겪기 시작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의 연앙 인구는 1991년 37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272만 명까지 줄어들었다.[41]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인구 감소폭은 같은 기간 내전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구가 감소한 시리아, 푸에르토 리코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컸다. 리투아니아는 2050년까지 인구가 23% 이상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불가리아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인구 감소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42][43]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인구 성장률은 -1.48%를 기록했다.[44]
리투아니아의 인구 변화 (1950-2015) | ||||||
---|---|---|---|---|---|---|
1950 | 197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56.7만 명 | ↗313.7만 명 | ↗396.6만 명 | ↘350.2만 명 | ↘334.4만 명 | ↘312.4만 명 | ↘293.2만 명 |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 총인구: 280만 명
- 15세 미만 인구: 15.1%
- 15~24세 인구: 10.0%
- 25~64세 인구: 54.7%
- 65세 이상 인구: 20.2%
- 노인 부양 가능 인구 (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2.7명
- 인구 성장률: -1.4%
- 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 10.2명
- 합계출산율: 1.68명
-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13.8명
- 영아사망률 (1세 미만 1000명당): 4명
- 유아사망률 (5세 미만 1000명당): 5명
- 출생시 기대수명: 75.9세
리투아니아의 인구 동태 (1915-1939) | |||||||
---|---|---|---|---|---|---|---|
연도 | 인구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 증감 | 조출생률 (1000명당) | 조사망률 (1000명당) | 자연 증감률 (1000명당) |
1915 | 2,137,000 | 38,722 | 43,596 | -4,874 | 18.1 | 20.4 | -2.3 |
1916 | 2,137,000 | 35,565 | 31,512 | 4,053 | 16.6 | 14.7 | 1.9 |
1917 | 2,134,000 | 32,266 | 43,047 | -10,781 | 15.1 | 20.2 | -5.1 |
1918 | 2,121,000 | 33,176 | 47,522 | -14,346 | 15.6 | 22.4 | -6.8 |
1919 | 2,108,000 | 41,095 | 51,930 | -10,835 | 19.5 | 24.6 | -5.1 |
1920 | 2,104,000 | 47,642 | 44,487 | 3,155 | 22.6 | 21.1 | 1.5 |
1921 | 2,116,000 | 51,864 | 31,915 | 19,949 | 24.5 | 15.1 | 9.4 |
1922 | 2,136,000 | 58,064 | 37,598 | 20,466 | 27.2 | 17.6 | 9.6 |
1923 | 2,161,000 | 60,869 | 32,432 | 28,437 | 28.2 | 15.0 | 13.2 |
1924 | 2,189,000 | 63,864 | 35,493 | 28,371 | 29.2 | 16.2 | 13.0 |
1925 | 2,217,000 | 63,743 | 37,179 | 26,564 | 28.8 | 16.8 | 12.0 |
1926 | 2,245,000 | 63,655 | 34,380 | 29,275 | 28.4 | 15.3 | 13.0 |
1927 | 2,273,000 | 66,114 | 38,897 | 27,217 | 29.1 | 17.1 | 12.0 |
1928 | 2,301,000 | 65,945 | 35,698 | 27,116 | 28.7 | 15.5 | 11.8 |
1929 | 2,328,000 | 63,083 | 39,669 | 23,414 | 27.1 | 17.0 | 10.1 |
1930 | 2,354,000 | 64,164 | 37,151 | 27,013 | 27.3 | 15.8 | 11.5 |
1931 | 2,380,000 | 63,419 | 37,478 | 25,941 | 26.6 | 15.7 | 10.9 |
1932 | 2,407,000 | 65,371 | 36,577 | 28,794 | 27.2 | 15.2 | 12.0 |
1933 | 2,436,000 | 62,145 | 32,749 | 29,396 | 25.5 | 13.4 | 12.1 |
1934 | 2,464,000 | 60,770 | 35,789 | 24,981 | 24.7 | 14.5 | 10.1 |
1935 | 2,488,000 | 57,970 | 34,595 | 23,375 | 23.3 | 13.9 | 9.4 |
1936 | 2,513,000 | 60,446 | 33,440 | 25,939 | 24.1 | 13.3 | 10.3 |
1937 | 2,538,000 | 56,393 | 33,260 | 22,433 | 22.2 | 13.1 | 8.8 |
1938 | 2,563,000 | 57,951 | 32,256 | 24,562 | 22.6 | 12.6 | 9.6 |
19391 | 2,432,000 | 54,184 | 32,983 | 21,201 | 22.3 | 13.6 | 8.7 |
1 1939년 클라이페다 지역 제외.
출처: 리투아니아 통계청[45]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right;"
! colspan="9" |리투아니아의 인구 동태 (1945-2020)
|-
! 연도 !! 인구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 증감 !! 조출생률 (1000명당) !! 조사망률 (1000명당) !! 자연 증감률 (1000명당) !! 합계출산율
|-
|1945 || 2,520,000 || 60,392 || 35,201 || 25,191 || 24.0 || 14.0 || 10.0 ||
|-
|1946 || 2,530,000 || 58,399 || 37,688 || 20,711 || 23.1 || 14.9 || 8.2 ||
|-
|1947 || 2,540,000 || 59,680 || 39,716 || 19,964 || 23.5 || 15.6 || 7.9 ||
|-
|1948 || 2,550,000 || 58,780 || 35,137 || 23,643 || 23.1 || 13.8 || 9.3 ||
|-
|1949 || 2,560,000 || 63,034 || 32,049 || 30,985 || 24.6 || 12.5 || 12.1 ||
|-
|1950 || 2,567,000 || 60,719 || 30,870 || 29,849 || 23.7 || 12.0 || 11.6 ||
|-
|1951 || 2,569,000 || 58,504 || 29,693 || 28,811 || 22.8 || 11.6 || 11.2 ||
|-
|1952 || 2,576,000 || 56,944 || 28,166 || 28,778 || 22.1 || 10.9 || 11.2 ||
|-
|1953 || 2,590,000 || 52,610 || 27,118 || 25,492 || 20.3 || 10.5 || 9.8 ||
|-
|1954 || 2,607,000 || 54,229 || 25,559 || 28,670 || 20.8 || 9.8 || 11.0 ||
|-
|1955 || 2,629,000 || 55,525 || 24,138 || 31,387 || 21.1 || 9.2 || 11.9 ||
|-
|1956 || 2,653,000 || 53,741 || 21,869 || 31,872 || 20.3 || 8.2 || 12.0 ||
|-
|1957 || 2,681,000 || 56,223 || 23,361 || 32,862 || 21.0 || 8.7 || 12.3 ||
|-
|1958 || 2,711,000 || 61,190 || 22,103 || 39,087 || 22.6 || 8.2 || 14.4 || 2.63
|-
|1959 || 2,744,000 || 62,241 || 24,688 || 37,553 || 22.7 || 9.0 || 13.7 || 2.63
|-
|1960 || 2,782,000 || 62,485 || 21,611 || 40,874 || 22.5 || 7.8 || 14.7 || 2.59
|-
|1961 || 2,828,000 || 62,775 || 23,365 || 39,410 || 22.2 || 8.3 || 13.9 || 2.57
|-
|1962 || 2,865,000 || 59,728 || 24,925 || 34,803 || 20.8 || 8.7 || 12.1 || 2.64
|-
|1963 || 2,893,000 || 57,024 || 23,112 || 33,912 || 19.7 || 8.0 || 11.7 || 2.45
|-
|1964 || 2,928,000 || 55,856 || 21,830 || 34,026 || 19.1 || 7.5 || 11.6 || 2.31
|-
|1965 || 2,967,000 || 53,818 || 23,467 || 30,351 || 18.1 || 7.9 || 10.2 || 2.21
|-
|1966 || 3,006,000 || 54,275 || 23,799 || 30,47
3. 4. 체류 외국인
wikitext순위 | 국적 | 인구 |
---|---|---|
1 | 우크라이나 | 16,927 |
2 | 러시아 | 12,529 |
3 | 벨라루스 | 12,204 |
4 | EU 라트비아 | 1,100 |
5 | 인도 | 826 |
6 | EU 독일 | 768 |
7 | EU 폴란드 | 736 |
8 | 미국 | 507 |
9 | 몰도바 | 490 |
10 | 시리아 | 472 |
11 | 중국 | 470 |
12 | EU 이탈리아 | 445 |
13 | 이스라엘 | 445 |
14 | 튀르키예 | 416 |
15 | 카자흐스탄 | 399 |
16 | 아제르바이잔 | 382 |
17 | 조지아 | 369 |
18 | 영국 | 369 |
19 | 아르메니아 | 346 |
20 | EU 루마니아 | 305 |
4. 민족 구성
그룹
! colspan="2" | 1959년 인구 조사1
! colspan="2" | 1970년 인구 조사2
! colspan="2" | 1979년 인구 조사3
! colspan="2" | 1989년 인구 조사4
! colspan="2" | 2001년 인구 조사5
! colspan="2" | 2011년 인구 조사6
! colspan="2" | 2021년 인구 조사7[17]
|-bgcolor="#e0e0e0"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 리투아니아인
| align="right" | 2,150,767
| align="right" | 79.3
| align="right" | 2,506,751
| align="right" | 80.1
| align="right" | 2,712,233
| align="right" | 80.0
| align="right" | 2,924,251
| align="right" | 79.6
| align="right" | 2,907,293
| align="right" | 83.4
| align="right" | 2,561,314
| align="right" | 84.2
| align="right" | 2,378,118
| align="right" | 84.61
|-
| 폴란드인
| align="right" | 230,107
| align="right" | 8.5
| align="right" | 240,203
| align="right" | 7.7
| align="right" | 247,022
| align="right" | 7.3
| align="right" | 257,994
| align="right" | 7.0
| align="right" | 234,989
| align="right" | 6.7
| align="right" | 200,317
| align="right" | 6.6
| align="right" | 183,421
| align="right" | 6.53
|-
| 러시아인
| align="right" | 231,014
| align="right" | 8.5
| align="right" | 267,989
| align="right" | 8.6
| align="right" | 303,493
| align="right" | 8.9
| align="right" | 344,455
| align="right" | 9.4
| align="right" | 219,789
| align="right" | 6.3
| align="right" | 176,913
| align="right" | 5.8
| align="right" | 141,122
| align="right" | 5.02
|-
| 벨라루스인
| align="right" | 30,256
| align="right" | 1.1
| align="right" | 45,412
| align="right" | 1.5
| align="right" | 57,584
| align="right" | 1.7
| align="right" | 63,169
| align="right" | 1.7
| align="right" | 42,866
| align="right" | 1.2
| align="right" | 36,227
| align="right" | 1.2
| align="right" | 28,183
| align="right" | 1.0
|-
| 우크라이나인
| align="right" | 17,692
| align="right" | 0.7
| align="right" | 25,099
| align="right" | 0.8
| align="right" | 31,982
| align="right" | 0.9
| align="right" | 44,789
| align="right" | 1.2
| align="right" | 22,488
| align="right" | 0.6
| align="right" | 16,423
| align="right" | 0.5
| align="right" | 14,168
| align="right" | 0.5
|-
| 유대인
| align="right" | 24,667
| align="right" | 0.9
| align="right" | 23,538
| align="right" | 0.8
| align="right" | 14,691
| align="right" | 0.4
| align="right" | 12,390
| align="right" | 0.3
| align="right" | 4,007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3,050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256
| align="right" | 0.08
|-
| 로마니족
| align="right" | 1,238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1,880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306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718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571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115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251
| align="right" | 0.08
|-
| 타타르인
| align="right" | 3,020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3,454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3,984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5,135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3,235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793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142
| align="right" | 0.08
|-
| 독일인
| align="right" | 11,166
| align="right" | 0.4
| align="right" | 1,904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616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058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3,243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418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1,977
| align="right" | 0.07
|-
| 라트비아인
| align="right" | 6,318
| align="right" | 0.2
| align="right" | 5,063
| align="right" | 0.2
| align="right" | 4,354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4,229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955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2,025
| align="right" | 0.1
| align="right" | 1,572
| align="right" | 0.06
|-
| 아르메니아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125
| align="right" | 0.04
|-
| 아제르바이잔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575
| align="right" | 0.02
|-
| 몰도바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451
| align="right" | 0.02
|-
| 그루지야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333
| align="right" | 0.01
|-
| 에스토니아인
| align="right" | 352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551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546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598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400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314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233
| align="right" | 0.01
|-
| 카자흐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214
| align="right" | 0.01
|-
| 카라임
| align="right" | 423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388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352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289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273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241
| align="right" | 0.0
| align="right" | 192
| align="right" | 0.01
|-
| 추바시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77
| align="right" | 0.01
|-
| 그리스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34
| align="right" | 0.01
|-
| 레즈긴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31
| align="right" | 0.01
|-
| 우즈베크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26
| align="right" | 0.01
|-
| 모르도바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21
| align="right" | 0.01
|-
| 오세트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18
| align="right" | 0.01
|-
| 불가리아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110
| align="right" | 0.01
|-
| 중국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97
| align="right" | 0.01
|-
| 체첸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85
| align="right" | 0.01
|-
| 바슈키르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81
| align="right" | 0.01
|-
| 터키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78
| align="right" | 0.01
|-
| 헝가리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76
| align="right" | 0.01
|-
| 베트남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75
| align="right" | 0.01
|-
| 프랑스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71
| align="right" | 0.01
|-
| 루마니아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68
| align="right" | 0.01
|-
| 핀란드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68
| align="right" | 0.01
|-
| 우드무르트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67
| align="right" | 0.01
|-
| 한국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62
| align="right" | 0.01
|-
| 마리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60
| align="right" | 0.01
|-
| 코미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54
| align="right" | 0.01
|-
| 이탈리아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52
| align="right" | 0.01
|-
| 영국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48
| align="right" | 0.01
|-
5. 언어
리투아니아어는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공식 언어이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85.33%가 리투아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리투아니아인이 아닌 432,643명 중 295,244명(약 68%)도 리투아니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20] 주요 소수 민족 언어로는 러시아어(6.79%), 폴란드어(5.12%), 벨라루스어(0.24%), 우크라이나어(0.17%) 등이 있다.[20] 특히 폴란드어는 폴란드계 주민들이 주로 사용하며, 러시아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주한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주로 사용한다.[21]
언어 | 비율 (%) |
---|---|
리투아니아어 | 85.33 |
러시아어 | 6.79 |
폴란드어 | 5.12 |
벨라루스어 | 0.24 |
우크라이나어 | 0.17 |
기타 | 0.61 |
2개 언어 사용 | 1.75 |
리투아니아 시민 대부분은 최소한 이중 언어 구사자로 여겨진다. 과거 소련 시절 러시아어 교육의 영향으로 구세대들은 러시아어를 제2 언어로 구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독립 이후 세대는 영어를 제2 언어로 배우는 경향이 있다.[22] 2021년 인구 조사 결과, 외국어 구사 능력은 러시아어가 60.6%로 가장 높았고, 영어가 31.1%로 뒤를 이었다. 그 외 독일어(8.0%), 폴란드어(7.9%), 프랑스어(1.9%) 등을 구사하는 인구도 있다.[20] 리투아니아인들은 평균 2.7개의 언어를 구사하며, 전체 인구의 37%는 최소 두 개 이상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23]
언어 | 구사 가능 비율 (%) |
---|---|
러시아어 | 60.6 |
영어 | 31.1 |
리투아니아어 (외국어로서) | 10.5 |
독일어 | 8.0 |
폴란드어 | 7.9 |
프랑스어 | 1.9 |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2012년 학년도 기준으로 러시아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에는 약 14,800명의 학생이 있었으며(1991년 76,000명에서 감소), 폴란드어 학교에는 약 12,300명의 학생이 등록했다(1991년 11,400명, 2001년 21,700명).[24][25] 이 외에도 벨라루스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교육하는 학교들이 있다.[24][25]
소수 언어로는 카라이트 유대인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튀르크어 계열의 카라임어가 있으며, 화자 수는 약 50명 정도로 추정된다.[26]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에서는 리투아니아 수화와 러시아 수화가 사용된다. 또한, 리투아니아의 로마(집시) 소수 민족은 발트 로마니를 사용한다.[27]
6. 종교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인의 77.2%가 로마 가톨릭 신자로 나타났다.[28] 가톨릭교회는 14세기 말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후 리투아니아의 주된 종교였으며, 일부 사제들은 소련의 공산 정권에 대한 저항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기도 했다. 이는 십자가 언덕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난다.
20세기 전반에는 루터교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신자가 약 20만 명(전체 인구의 9%)에 달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과거 메멜 지역에 거주하던 리투아니아인과 독일인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 수가 크게 감소했다. 현재는 작은 개신교 공동체들이 국가 북부와 서부에 흩어져 있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신자와 성직자들은 살해, 고문, 시베리아 강제 이주 등 극심한 탄압을 받았다. 1990년 리투아니아의 독립 회복 이후 다양한 개신교 교회들이 선교부를 설립하며 활동을 재개했다.[29]
2011년 조사 기준으로 다른 종교 분포는 동방 정교회 4.1%, 고(古) 신자 0.8%(두 그룹 모두 주로 러시아인 소수 민족), 기타 개신교 0.8% 등이며, 무종교 인구는 6.1%이다.[28]
리투아니아는 역사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던 곳이다. 18세기부터 유대인 학문과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약 16만 명에 달했던 공동체는 홀로코스트 동안 나치 독일에 의해 거의 전멸되는 비극을 겪었다.[30][31] 2011년 조사에서는 약 3,000명이 자신을 유대인으로 식별했고, 약 1,200명이 유대교 종교 공동체와 동일시했다.[32][33]
2005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시민 중 49%는 "신이 있다고 믿는다"고 응답했으며, 36%는 "어떤 종류의 영혼 또는 생명력이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반면, 12%는 "어떤 종류의 영혼, 신, 또는 생명력도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다.[34]
7. 교육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0세 이상 리투아니아 인구의 문맹률은 약 0.2%로 낮으며, 주로 농촌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남녀 간 문맹률 차이는 크지 않다.[35]
리투아니아의 일반 교육 시스템은 초등, 기초, 중등, 고등 교육 단계로 나뉜다. 초등, 기초, 중등 교육은 모든 거주자에게 무료이며, 16세 미만 학생에게는 의무 교육이다.[36] 5세 및 6세 아동을 위한 취학 전 교육도 무료로 제공되지만 의무는 아니다. 리투아니아 미취학 아동의 약 90%가 취학 전 교육 기관에 다닌다.[37] 초등, 기초, 중등 교육 과정에서는 폴란드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등 일부 소수 민족 언어로도 교육이 제공된다.
초등 교육(pradinis ugdymaslit)은 만 7세(또는 부모의 희망에 따라 더 일찍) 아동을 대상으로 4년간 이루어진다. 초등학교에서는 성적 대신 구두 또는 서면 피드백으로 학생을 평가하며, 2학년 때 첫 외국어 학습을 시작한다.[38] 2011년 조사 기준 20세 이상 인구의 99.1%가 최소 초등 교육을 이수했으며, 2012년에는 약 27,000명의 학생이 1학년에 입학했다.[39]
기초 교육(pagrindinis ugdymaslit)은 5학년부터 10학년까지 해당한다. 기초 학교, 중학교, 청소년 학교, 직업 학교, 김나지움 등에서 제공된다. 10학년을 마치면 학생들은 리투아니아어와 수학 기초 교육 성취도 평가를 치러야 하며, 모국어(벨라루스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시험은 선택적으로 응시할 수 있다.[36] 2011년 기준 20세 이상 인구의 90.9%가 기초 교육을 이수했다.[39]
중등 교육(vidurinis ugdymaslit)은 기초 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하며, 의무는 아니다. 중등 학교(11~12학년) 또는 김나지움(3~4학년)에서 2년간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선호에 따라 학습 과목과 수준을 선택하여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38] 중등 교육은 국가 졸업 시험인 ''마투라''(Matura)를 통과하면 완료된다. 이 시험은 총 6개 과목으로 구성되며, 졸업장을 받기 위해서는 리투아니아어와 문학, 그리고 선택 과목 1개를 포함하여 최소 2개 과목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2011년 기준 20세 이상 인구의 78.2%가 직업 학교 과정을 포함한 중등 교육을 이수했다.[39]
매년 중등 학교 졸업생의 60% 이상이 리투아니아의 칼리지(전문대학)나 대학교에 진학한다. 2013년 기준으로 리투아니아에는 23개의 대학교(아카데미 및 비즈니스 스쿨 포함)와 24개의 칼리지가 운영되고 있었다. 1579년에 설립된 빌뉴스 대학교는 리투아니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대학교이다. 2011년에는 전문 학사, 학사(레벨 I), 석사(레벨 II), 박사(레벨 III) 과정을 포함하여 약 48,000명 이상의 학생이 고등 교육 과정에 등록했다.[40] 리투아니아의 고등 교육은 일부 국비로 지원되며, 우수 학생은 헌법에 따라 무료로 고등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된다. 우수 학생에게는 장학금도 지급된다.
참조
[1]
간행물
Istorija. Politologija: kurso santrauka istorijos egzaminui
Alma littera
[2]
서적
Dialect and language contacts on the territory of the Grand Duchy from the 15th century until 1939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3-10-12
[3]
문서
Istorija. Politologija: kurso santrauka istorijos egzaminui
[4]
서적
The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3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books.google[...]
2023-03-24
[6]
서적
Poland a Historical Atlas
Hippocrene Books
[7]
서적
Russia's foreign trade and economic expans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windows on the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23-10-12
[8]
웹사이트
Lietuvos Didžiosios kunigaikštystės kanceliarinės slavų kalbos termino nusakymo problema
http://viduramziu.is[...]
2009-07-10
[9]
서적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2023-03-26
[10]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4-04-03
[11]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esa.un.org/u[...]
2018-08-26
[12]
웹사이트
Pradžia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2014-05-16
[13]
웹사이트
osp.stat.gov.lt, resident population, visited 15 march 2024
https://osp.stat.gov[...]
2024-03-15
[14]
웹사이트
Official Statistics Lithuania
https://eacea.ec.eur[...]
2022-06-08
[15]
웹사이트
Rodiklių duomenų bazė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2023-05-10
[16]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2023-05-10
[17]
웹사이트
Gyventojų ir būstų surašymai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2022-05-21
[18]
웹사이트
Rodiklių duomenų bazė - Oficialiosios statistikos portalas
https://osp.stat.gov[...]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123.emn.lt/f[...]
2020-05-16
[20]
웹사이트
Population by command of languages in municipality
https://osp.stat.gov[...]
2022-09-23
[21]
뉴스
What is happening to the Russian language in Lithuania
https://www.dw.com/r[...]
dw.com
2017-06-07
[22]
웹사이트
Employees fluent in three languages – it's the norm in Lithuania
https://investlithua[...]
2021-02-21
[23]
웹사이트
Lithuanians among top bilingual nations in Europe
https://studyin.lt/2[...]
2014-10-16
[24]
웹사이트
General school pupils
http://osp.stat.gov.[...]
Statistics Lithuania
2023-10-12
[25]
웹사이트
Initiative "Schulen: Partner der Zukunft" – Hermann-Sudermann-Gymnasium Klaipėda
https://www.pasch-ne[...]
2019-03-04
[26]
웹사이트
Audio-visual resources
http://www.unesco.or[...]
UNESCO
2011-12-28
[27]
웹사이트
Roma and Romani in Lithuania in the 21st century
https://romani.human[...]
2022-10-26
[28]
웹사이트
Ethnicity, mother tongue and religion
http://www.osp.stat.[...]
Department of Statistic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3-03-15
[29]
웹사이트
United Methodists evangelize in Lithuania with ads, brochures
http://www.umc.org/s[...]
Umc.org
2006-08-11
[30]
서적
The Vanished World of Lithuanian Jews
Rodopi
2020-12-20
[31]
백과사전
Lithuania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12-04-12
[32]
웹사이트
Census 2011. Population by ethnicity and municipality
http://www.osp.stat.[...]
2013-10-28
[33]
웹사이트
Census 2011.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indicated, municipalities
http://www.osp.stat.[...]
2013-10-28
[34]
웹사이트
Eurobarometer on Social Values, Science and technology 2005
http://ec.europa.eu/[...]
2007-05-05
[35]
웹사이트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and command of languages
http://www.osp.stat.[...]
Statistics Lithuania
2013-11-02
[36]
간행물
Lower secondary education
http://www.smm.lt/w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2013-11-05
[37]
간행물
Pre-school education
http://www.smm.lt/w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2013-11-05
[38]
간행물
Education System
http://www.lietuv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The Official Gateway of Lithuania
2013-11-05
[39]
간행물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age group and municipality
http://www.osp.stat.[...]
Statistics Lithuania, 2011 Census
2013-11-05
[40]
간행물
Lietuvos švietimas skaičiais, 2012
http://www.smm.lt/up[...]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4-09-08
[41]
웹인용
Total population, both sexes combined (thousands)
https://data.un.org/[...]
2021-07-28
[42]
웹인용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세계 인구, 2100년에 109억 명 도달... 한국은? - 향후 인구 증감,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 이동 예측"
https://blog.naver.c[...]
2021-07-28
[43]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ighlights
https://population.u[...]
2021-07-28
[44]
웹인용
Average annual rate of population change (percentage)
https://data.un.org/[...]
2021-07-28
[45]
웹인용
Official Statistics Portal
https://osp.stat.gov[...]
[46]
문서
https://123.emn.lt/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